결혼은 인생의 매우 큰 결정 중 하나로 연인과의 교제 기간이 길수록 결혼이라는 것을 의식하게 되기 마련.
망설임 없이 결혼을 결정할 수 있다면 정말 행복할 텐데, 결혼을 코 앞에 두고 '정말 이 결혼이 맞는 걸까'하며 불안하고 우울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바로 "메리지 블루"이다. 프러포즈했을 때는 행복한 가정을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겠지만 결혼 직전에 메리지 블루로 의해 파혼이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결혼은 인생의 큰 결정이고 거기에 망설임이 발생하느냐의 여부에 남녀는 관계없다.
1. 금전 감각의 불안
결혼하고 가정을 이루게 되면 금전 감각은 피할 수 없고,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진지하게 생각해야만 한다. 결혼하면 서로서로 의지하여 생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연인이었기에 각자 돈 관리를 하며 사고 싶은 것도 사고 흥청망청 돈을 사용했을 수 있지만 결혼하면 생활비와 아이들을 위한 저축, 노후 저축 등 함께 협력하여 금전 관리를 해야 한다.
2. 양가 부모님과의 사이가 불안
결혼을 하면 상대의 부모가 생소한 사람은 없다. 자신의 부모와 상대방이 좋은 관계가 돼서 사이가 좋아지면 좋겠지만, 사이가 틀어졌을 경우 당신은 부모님과 사랑하는 사람 가운데에 끼는 중간 입장이 되어서 괴로운 시간을 보내게 될 수밖에 없다. 어느 한쪽의 편만 들어주면 안 되기 때문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런 매일매일을 상상한다면 차라리 결혼 같은 건 하지 않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까지 들 수 있다.
3. 상대의 바람기
과거에 상대방에게 배신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 불안감이 있을 텐데 결혼을 하게 된다면 더더욱 불안해질 것이다. 한 번이 어렵지 두 번 세 번은 쉬운 일이라는 말이 있는데, 무슨 버릇이든 간에 버릇은 좀처럼 완치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혼전 계약서라고 해서 결혼 전에 서로 지켜야 할 약속을 서면으로 남기는 부부들도 보이고 있다. 상대방의 바람기가 불안하다면, 바람난 경우의 동의를 혼전 계약서에 정해 두고 외도를 방지하는 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4. 경제적 불안
많은 사람들이 메리지 블루가 되어버리는 요소 중 제일 큰 수입 문제. 충분한 소득이 있는 경우 괜찮겠지만 모든 사람이 수입이 크진 않다. 이 월급으로 두 명이서 먹고살 순 있는지, 아이를 만들 순 있는지, 집과 혼수 등등 모든 것이 불안해지고 이 불안을 안은 채 결혼을 결정하면 메리지 블루가 되어 버린다.
5. 아이에 대한 생각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는 것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 둘이서 같이 해나가는 것이다. 한쪽은 아이를 가지고 싶은데 다른 한쪽은 아이를 갖고 싶지 않다고 한다면 그것은 의견 충돌이 되는 것이다. 의견이 충돌하는 와중에 서로에게 조금씩 배려해주지 않는다면 큰 싸움으로 번지게 된다.
'Lo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인 관계에서 서로 이해하고 공감하는 방법 (0) | 2020.09.22 |
---|---|
결혼 전 우울감, 메리지 블루를 극복하는 방법 (0) | 2020.06.09 |
자기야 힘내세요 캠페인 3 '모든 기능 100% 무료' (0) | 2020.03.18 |
사회인의 연애가 어려운 이유 그리고 연애 비법 (0) | 2020.02.11 |
업무 스트레스가 당신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0) | 2020.02.06 |